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복잡한 4개의 교통할인카드 정책 한번에 비교하기

by ♧♤□$€ 2024. 1. 24.
반응형

안녕하세요 어제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뉴스가 발표되었는데요

기후동행카드 포함 총 4개의 카드에 대한 뉴스가 동시에 발표되어서 너무 헷갈리더라구요

그래서 한번에 알 수 있게 정리해보았습니다. 

 

경기도에 살면서 서울로 출/퇴근 하는 저의 경우 어떤 카드가 유리할까요?

아래의 내용을 보면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  1. 기후동행카드:
    • 대상 및 혜택: 카드 구매자들에 한하여 서울내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가능 (단, 광역, 신분당, GTX는 미지원).
    • 이용 금액: 6만2천원 (3천원 추가 시 따릉이 포함).
    • 이용 가능 지역: 서울내 지하철만 가능하며, 일부 지역에서의 하차 가능 (인천, 하남, 남양주 등).
    • 이용 방법: 모바일 티머니앱 충전 또는 지하철 고객안전실에서 3천원에 구매 후, 현금 충전 가능.
    • 구매 가능 시기 및 사용일: 1/23일부터 구매 가능하며, 사용은 1/27일부터 시작.
  2. K-패스:
    • 대상 및 혜택: 교통비 환급방식,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% 환급. (청년: 만 19~34세)
    • 이용 가능 지역: 서울에서 경기/인천으로 출퇴근 대상.(광역/신분당/GTX 가능)
    • 월 60회 이상 이용 시 환급 불가.
    • 이용 방법:  K패스 공식앱 / 홈페이지 통해 카드 등록하면 가능
    • 시행 시기: 2024년 5월부터 시행.
  3. 더(The) 경기패스:
    • 대상 및 혜택: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며,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% 환급.
    • 이용 가능 지역: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하며, 월 60회 이상 이용 시 적립/환급.
    • 환급 방식: 신용카드는 차감, 체크카드는 계좌 입금, 마일리지카드는 마일리지로 환급.
    • 등록 방법: K패스 공식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카드 등록 시 거주지 혜택 자동 적용.
    • 시행 시기: 2024년 5월부터 시행.
  4. 인천 I-패스:
    • 대상 및 혜택: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며,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% 환급.
    • 이용 가능 지역: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하며, 주민 등록 시 자동 등록.
    • 환급 방식: 사후환급 방식으로 운영.
    • 시행 시기: 2024년 5월부터 시행.

이렇게 4개의 교통할인카드는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대상을 대상으로 하며, 각각의 특징과 환급 시스템이 다르게 운영됩니다. 이 정보를 통해 개인의 상황과 용도에 맞게 적절한 카드를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반응형

댓글